검색결과 리스트
분류 전체보기에 해당되는 글 54건
- 2013.12.07 정규표현식 테스트 사이트
- 2013.12.05 notepad++ 엄청 쉬운 정규식 패턴
- 2013.11.21 모듈 불러올 시 차이점
- 2013.11.03 프로그램 실행시간 측정 (second 단위)
- 2013.10.25 chap6 code
- 2013.10.18 chap5 echo_client2.c
- 2013.10.17 [xlrd] 기본 사용법 1
- 2013.10.16 [mysql] 특정 테이블속 필드에 자동증가값 꼬였을시.. 무식하게 처리하는법
- 2013.10.09 자동 백업은 코비안
- 2013.10.08 간단한 ppserver.py 배치파일 소스
글
정규표현식 테스트 사이트
'알아두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블로그 등에 소스코드를 색깔을 입혀 넣어보자! (코드 하이라이트) (0) | 2014.07.21 |
---|---|
ubuntu 12.04 LTS에서 mstsc (원격 컴퓨터) 지원되도록 하는 방법 (0) | 2014.03.16 |
[mysql] 특정 테이블속 필드에 자동증가값 꼬였을시.. 무식하게 처리하는법 (0) | 2013.10.16 |
설정
트랙백
댓글
글
글
모듈 불러올 시 차이점
from random import choice
from time import sleep
choice ~
sleep ~
이는 아래와 바꿔 쓸 수 있다.
import random
import time
random.choice ~
time.choice ~
'알아두자 > pyth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파일을 읽어와 HEX로 출력하되 16단위로 자르기 (0) | 2014.09.13 |
---|---|
vs2010 express (visual studio 2010 express) 다운로드 링크 (0) | 2014.05.16 |
프로그램 실행시간 측정 (second 단위) (0) | 2013.11.03 |
간단한 ppserver.py 배치파일 소스 (0) | 2013.10.08 |
64비트 환경 python에서 단독 실행파일 만들기, 이제 py2exe 말고 cx_freeze합시다 (0) | 2013.09.29 |
설정
트랙백
댓글
글
프로그램 실행시간 측정 (second 단위)
#관련 모듈 임포트
import time
#타이머 시작
count_t = time.time()
//코드 구현
print 'Running Time : %.02f' % (time.time() - count_t)
'알아두자 > pyth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파일을 읽어와 HEX로 출력하되 16단위로 자르기 (0) | 2014.09.13 |
---|---|
vs2010 express (visual studio 2010 express) 다운로드 링크 (0) | 2014.05.16 |
모듈 불러올 시 차이점 (0) | 2013.11.21 |
간단한 ppserver.py 배치파일 소스 (0) | 2013.10.08 |
64비트 환경 python에서 단독 실행파일 만들기, 이제 py2exe 말고 cx_freeze합시다 (0) | 2013.09.29 |
설정
트랙백
댓글
글
chap6 code
uecho_server
#include <stdio.h>
#include <stdlib.h>
#include <string.h>
#include <unistd.h>
#include <arpa/inet.h>
#include <sys/socket.h>
#define BUF_SIZE 30
void error_handling(char *message);
int main(int argc, char *argv[])
{
int serv_sock;
char message[BUF_SIZE];
int str_len;
socklen_t clnt_adr_sz;
struct sockaddr_in serv_adr, clnt_adr;
if(argc!=2){
printf("Usage : %s <port>\n", argv[0]);
exit(1);
}
serv_sock=socket(PF_INET, SOCK_DGRAM, 0);
if(serv_sock==-1)
error_handling("UDP socket creation error");
memset(&serv_adr, 0, sizeof(serv_adr));
serv_adr.sin_family=AF_INET;
serv_adr.sin_addr.s_addr=htonl(INADDR_ANY);
serv_adr.sin_port=htons(atoi(argv[1]));
if(bind(serv_sock, (struct sockaddr*)&serv_adr, sizeof(serv_adr))==-1)
error_handling("bind() error");
while(1)
{
clnt_adr_sz=sizeof(clnt_adr);
str_len=recvfrom(serv_sock, message, BUF_SIZE, 0,
(struct sockaddr*)&clnt_adr, &clnt_adr_sz);
sendto(serv_sock, message, str_len, 0,
(struct sockaddr*)&clnt_adr, clnt_adr_sz);
}
close(serv_sock);
return 0;
}
void error_handling(char *message)
{
fputs(message, stderr);
fputc('\n', stderr);
exit(1);
}
'학교 실습 >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chap5 echo_client2.c (0) | 2013.10.18 |
---|---|
tcp_server/client (0) | 2013.10.04 |
학교 과제 (0) | 2013.09.27 |
설정
트랙백
댓글
글
chap5 echo_client2.c
#include <stdio.h>
#include <stdlib.h>
#include <string.h>
#include <unistd.h>
#include <arpa/inet.h>
#include <sys/socket.h>
#define BUF_SIZE 1024
void error_handling(char *message);
int main(int argc, char *argv[])
{
int sock;
char message[BUF_SIZE];
int str_len, recv_len, recv_cnt;
struct sockaddr_in serv_adr;
if(argc!=3) {
printf("Usage : %s <IP> <port>\n", argv[0]);
exit(1);
}
sock=socket(PF_INET, SOCK_STREAM, 0);
if(sock==-1)
error_handling("socket() error");
memset(&serv_adr, 0, sizeof(serv_adr));
serv_adr.sin_family=AF_INET;
serv_adr.sin_addr.s_addr=inet_addr(argv[1]);
serv_adr.sin_port=htons(atoi(argv[2]));
if(connect(sock, (struct sockaddr*)&serv_adr, sizeof(serv_adr))==-1)
error_handling("connect() error!");
else
puts("Connected...........");
while(1)
{
fputs("Input message(Q to quit): ", stdout);
fgets(message, BUF_SIZE, stdin);
if(!strcmp(message,"q\n") || !strcmp(message,"Q\n"))
break;
str_len=write(sock, message, strlen(message));
recv_len=0;
while(recv_len<str_len)
{
recv_cnt=read(sock, &message[recv_len], BUF_SIZE-1);
if(recv_cnt==-1)
error_handling("read() error!");
recv_len+=recv_cnt;
}
message[recv_len]=0;
printf("Message from server: %s", message);
}
close(sock);
return 0;
}
void error_handling(char *message)
{
fputs(message, stderr);
fputc('\n', stderr);
exit(1);
}
'학교 실습 >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chap6 code (0) | 2013.10.25 |
---|---|
tcp_server/client (0) | 2013.10.04 |
학교 과제 (0) | 2013.09.27 |
설정
트랙백
댓글
글
[xlrd] 기본 사용법
이것만 알면 된다! 별거 없다!
#엑셀 파일 읽어오기 위해서
import xlrd
#읽어오는 부분
try:
wb = xlrd.open_workbook("cnn_131017.xls")
sh = wb.sheet_by_index(0)
#예외처리
except IOError:
print("file error, please check text file")
exit()
#0번째줄 첫번째 내용 가져옴
print sh.cell_value(0,0)
#0번째 줄 두번째 내용 가져옴
print sh.cell_value(0,1)
#아래는 데이터 있을 시에만 출력하도록 판정 공식 한번 if문으로 세워 본것,
if sh.cell_value(0,0)is not None and sh.cell_value(0,1) is not None :
print ("true")
#마지막줄 알아내는 방법
print ("sh.nrows : " + str(sh.nrows))
삽질하다가 알아보니 별거 아니였다... 역시 파이썬... -,-/
xlwt같은 경우 자료가 많지만 xlrd는 자료가 많이 없어서 직접 중요한 부분만 정리해서 올려둔다...
누군가 필요할 지도 모르는 사람을 위해....
설정
트랙백
댓글
글
[mysql] 특정 테이블속 필드에 자동증가값 꼬였을시.. 무식하게 처리하는법
예를들어 hello라는 테이블의 world필드 자동증가를 걸어놨는데,
100,101... 이런식으로 잘 가던놈에게 더미값으로 1000을 던져주면 그 뒤론 1001이 알아서 들어간다
처음에 이걸 모르고 장난으로 던졌다가 실제 테스트중인 DB에 자동증가값이 꼬여서 큰일날 뻔한 적이 있는데
그럴땐 데이터를 미리 백업을 해준 뒤에 "truncate table 테이블명" 쿼리 날려주시고
백업한 데이터 먹여준 뒤에 다시 auto increase 찍어보면 마지막 들어간 값 이후로
제대로 증감하는것을 알 수 있다.
... 적어놔야지... ㅋㅋ
교훈 : 자나깨나 백업
'알아두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블로그 등에 소스코드를 색깔을 입혀 넣어보자! (코드 하이라이트) (0) | 2014.07.21 |
---|---|
ubuntu 12.04 LTS에서 mstsc (원격 컴퓨터) 지원되도록 하는 방법 (0) | 2014.03.16 |
정규표현식 테스트 사이트 (0) | 2013.12.07 |
설정
트랙백
댓글
글
자동 백업은 코비안
http://www.cobiansoft.com/cobianbackup.htm
그거슨 진리
백업 형식은 전체백업(Full), 증분백업(Incremental), 차등백업(Differential), 더미작업(Dummy)
전체백업은 항상 모든 내용을 새로 저장하는 방식이고,
증분백업은 이전 백업과 비교해서 바뀐 부분만 저장하는 방식
차등백업은 이전의 전체백업과 비교하여 다른 부분만 저장
'알아두자 > Windo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SD Formatter 4.0 다운로드 주소 (0) | 2014.03.23 |
---|---|
USB 메모리 인식 불량시 시도해볼수 있는 방법 (0) | 2014.03.16 |
윈도우8,7 64비트에서 파이썬 설치 제대로 하기 (0) | 2013.09.15 |
WINAPI 프로그래밍시 초기화가 'case' 레이블에 의해 생략되었습니다 오류 관련 (0) | 2013.05.19 |
윈도우8 넷북 메트로 사용법 (Intel 계열...) (0) | 2013.03.29 |
설정
트랙백
댓글
글
간단한 ppserver.py 배치파일 소스
@echo off
@title Python Parallel Server - 기동된PC아이피주소:포트번호
@color 0c
echo Python Parallel Server Server Start!
cd c:\python27\scripts\
start ppserver.py -p 포트번호 -i 기동된PC아이피주소
echo server running!!!
echo press any key to kill server
pause>nul
taskkill /f /im python.exe
echo bye~
@exit
귀찮아서 배치파일로 뚝딱 작성해 보았다.
사용법은 notepad에서 *.bat나 *.cmd 형식으로 저장하여 사용하면 끗
'알아두자 > pyth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파일을 읽어와 HEX로 출력하되 16단위로 자르기 (0) | 2014.09.13 |
---|---|
vs2010 express (visual studio 2010 express) 다운로드 링크 (0) | 2014.05.16 |
모듈 불러올 시 차이점 (0) | 2013.11.21 |
프로그램 실행시간 측정 (second 단위) (0) | 2013.11.03 |
64비트 환경 python에서 단독 실행파일 만들기, 이제 py2exe 말고 cx_freeze합시다 (0) | 2013.09.29 |